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2023년 연준이 채택한 디지털 자산이더리움 현물 ETF의 순유입액이 40억 달러를 돌파
1. 직전 24시간전 대비 비트코인 가격은 1.16% 상승한 107,299달러, 이더리움 가격은 1.13% 하락한 2,415달러
2.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2023년 연준이 채택한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보수적 정책 기조를 두고 “시대적 배경과 맥락을 고려한 결정이었지만, 현재는 업계 성숙과 인식 변화에 따라 재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밝힘
3. 미 상원이 통과시킨 지니어스 액트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현금, 단기 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토큰 가치를 완전히 담보해야 하며, 연간 재무제표를 외부 감사받아 공개해야 한다고 규정. 이에 따라 테더의 미국 내 위치가 불안정해졌다는 분석
4. 이더리움 현물 ETF의 순유입액이 40억 달러를 돌파하며 출시 11개월 만에 주요 이정표를 수립. 특히 고수익 중심의 기존 펀드 유출에도 불구하고 강한 회복세를 보이며 시장 신뢰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
5 인베스코 갤럭시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솔라나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ETF 출시를 위한 S-1 서류를 제출. 해당 ETF는 ‘인베스코 갤럭시 솔라나 ETF(QSOL)’로 명명되었으며, Cboe BZX 거래소에서 거래될 예정
6.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가 캐너리 캐피탈의 밈코인 상장지수펀드인 ‘PENGU ETF’의 상장을 위해 미 SEC에 19b-4 서류를 제출. 이 ETF는 솔라나 기반 밈코인 ‘PENGU’와 이더리움 기반 NFT인 ‘퍼지 펭귄’을 동시에 보유하는 최초의 구조
7. 스트래티지는 자사 비트코인 담보 증권 보유액이 33억달러를 돌파했다고 발표. 이날 발표에 따르면, 2025년 2월부터 6월 사이 비트코인 담보 증권의 가치는 약 5억달러 수준에서 급상승
8. 온도파이낸스가 미국 국채 기반 자산 6억9,300만 달러 규모를 XRP레저에 탑재. 기관 투자자들은 리플이 발행 예정인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미국 국채를 24시간 거래 및 정산 가능. 기존 브로커리지 시스템의 2일 걸리는 결제 지연을 해소
9. 아르테미스에 따르면 최근 1년간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은 디파이 서비스(40%)와 중앙화 거래소(27.5%)에서 사용. 이는 스테이블코인이 카드 결제 등 일반 상거래보다는, 담보 대출이나 이자 수익 창출 등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에 더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시사
10. 중국 선전시 소재 마케팅 기술 회사 오로라 모바일이 비트코인 등 디지털자산에 투자하는 재무 전략을 발표. 오로라 모바일은 나스닥 상장사로 현금성 자산의 최대 20%를 디지털 자산으로 변환할 계획
11. 스트래티지가 이번 2분기 내 S&P 500 지수에 편입될 확률이 91%라는 분석. 단 비트코인 가격이 6월 말까지 10% 이상 하락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하의 확률
12. 투자 플랫폼 리퍼블릭이 개인 투자자들도 스페이스X에 간접 투자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출시. 'rSpaceX' 토큰은 스페이스X 기업 가치를 따르도록 설계됐으며, 개인 투자자들도 접근 가능
13. 클라우드 기업 젤라토와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Morpho는 암호화폐 담보 대출 서비스를 공동 출시
14. 테더 공동 창업자인 리브 콜린스와 전 블랙스톤 임원 친 추가 10억 달러의 자금을 조성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등 다양한 암호화폐를 포함한 펀드를 설립할 계획
15. 바클레이즈가 신용카드를 통한 암호화폐 구매를 중단. 바클레이즈는 암호화폐 구매 시 발생할 수 있는 '특정 리스크'를 이유로 들며 27일부터 바클레이카드 브랜드 신용카드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를 차단
16.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써클이 운영하는 USDC가 실제 탄소배출권 거래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디지털 자산이 세계적인 온실가스 감축 시장과 접점을 확대. 이는 실물자산들의 토큰화와 밀접 관련
17. 미국 오하이오주가 비트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에 공공자금을 직접 투자하는 첫 번째 주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확대. 오하이오주 하원에서 논의 중인 ‘오하이오 전략적 암호화폐 준비금 법안’이 위원회 단계를 통과
18. 뉴욕시가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투자 수단 ‘비트본드’ 도입을 모색하면서, 미국 주요 도시 최초의 암호화폐 채권 실험을 추진
19. 중국 본토 증권사인 궈타이쥔안 증권 홍콩이 가상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승인을 취득. 이로써 홍콩에서 가상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첫 중국 본토 증권사가 됨
20. 일본 상장사 메타플래닛이 하루새 749억엔을 조달, 비트코인 추가 매수를 예고
21. 코인베이스, OKX, 크립토닷컴, 바이빗 등이 2025년에 MiCA 라이선스를 발표했으며, 제미니도 몰타에서 승인 절차를 진행 중
22. 비트디지털이 비트코인 채굴 사업에서 손을 떼고 이더리움 기반 스테이킹과 자산운용 중심의 구조로 전환. 현재 운영 중인 비트코인 채굴 사업을 정리하거나 매각하고, 이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이더리움 확보 및 스테이킹 인프라 구축에 재투자할 계획
23. 글래스노드는 "비트코인이 전통 자산과의 연관성이 커지며 장기 투자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고 있다"고 분석. 피타고라스 인베스트먼트는 "비트코인 현물 ETF로 11억달러가 유입되며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다"고 덧붙임
24. 바이낸스의 공동창업자 허이가 창펑자오 전 CEO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사면을 받았다는 루머를 부인
25. 스토리재단이 OKX벤처스와 함께 1000만달러 규모의 스타트업 펀드를 조성
26.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미 비밀경호국과의 공조를 통해 2억 2,500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사기 자금 압수를 진행
27. 한국은행과 국제결제은행에서 스테이블코인 확산이 코인런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외환시장 충격 등 다양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
28. 한국은행이 7개 은행과 진행한 예금토큰 1차 파일럿 테스트 '한강 프로젝트'가 오는 30일 종료. 이에 따라 은행들은 예금토큰 결제 서비스를 위해 월렛을 만들었던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 종료를 공지. 1차 파일럿 테스트가 종료된 이후부터 예금토큰 결제나 예금토큰 충전이 불가능
거시 경제
1.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3.781%(-3.10bp), 국채 10년물 금리는 4.293%(+0.00bp), 국채 30년물 금리는 4.843%(+1.20bp) 스티프닝 진행. 2-10년 커브는 51.2bp로 확대
2. 파월 연준 의장은 관세가 경제에 미치는 여파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며 "기다리기에 적절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힘. 다만, 전날에 이어 연준 일각에서 주장하는 '7월 인하론'에 대해서도 가능성을 배제하진 않음에 따라 시장은 기존보다 조금 더 비둘기파적 입장을 드러냈다고 해석
3. 연준은 보완적 레버리지비율(SLR)을 하향하는 개정안을 발표. 국채 시장의 수요를 확대할 수 있는 재료라는 분석. 지주회사에 적용되는 eSLR은 종전 5%에서 3.5~4.5%로, 각 지주회사의 은행 자회사가 충족해야 하는 eSLR은 6%에서 3.5~4.5%로 하향
4.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연준이 7월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전장 81.4%에서 75.2%로 낮춰 반영. 9월까지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은 전장 14.8%에서 9.2%로 하락했고, 연말까지 연내 한번 인하에 그칠 가능성은 12.9%에서 9.9%로 하락
5. 미 증시는 다우지수는 42,983(-0.25%), S&P500지수는 6,092(-0.00%), 나스닥 지수는 19,973(+0.31%)로 마감하며 위험자산 혼조세
6. 엔비디아 주가가 사상 최초로 150달러선을 돌파. 장중에는 154.45달러까지 오르며 지난 1월 7일 기록한 역대 최고가를 경신. 엔비디아는 이날 급등으로 시총이 3조7천651억달러에 달하며 전 세계 시총 1위를 탈환
7. NATO 32개국은 2035년까지 국방비를 GDP의 총 5%로 증액하기로 합의. '직접 군사비 3.5%+간접 비용 1.5%'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요구한 '5%'와 일치. 유럽에서 인프라 및 방위산업에 대한 재정 집행으로 경기 부양 효과를 끌어낼 발판으로 분석